히브리서를 간략하게 표현하자면,
누군지는 정확히 알 수 없는 저자가, 신앙을 포기해야 하는 위험에 처한 1세기 유대지역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쓴 서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히브리서는 유대교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변증서로서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들 중 동족의 박해를 못이겨 유대교로 되돌아가려는 자들에게 그리스도의 우월성을 증거함으로써 배교를 방지하고, 복음 전파를 촉진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시 히브리서 수신자들은 ‘신체적인 공격,’ ‘약탈’ 등의 위험을 경험하고 있었습니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믿음 때문에 감옥에 갇혔고, 예수님에 대한 확고한 신뢰 때문에 사람들 앞에서 조롱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많은 이들이 모든 어려움을 기쁘게 받아들였으나, 소수의 어떤 이들은 그리스도에 대한 초기의 충성으로부터 ‘뒤로 물러나’ 배교자가 되었으며, 또 어떤 이들은 타협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었습니다.
이 서신은 이렇게 심한 시험과 박해를 겪고 있던 모든 사람에게 진리의 정박지에 믿음의 닻을 튼튼히 내리고, 그리스도에 대한 확신을 꾸준히 유지하며, 그리스도인으로서 성숙하고 안정된 상태로 나아가라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권면 중에서 가장 우선되는 것은 먼저 인내입니다.
저자는 수신자들이 잘 알고 있는 구약의 인물 중 그들이 위대하게 여기는 아브라함과 모세의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을 주셨기 때문에 그가 ‘오래 참았다’는 것을 상기시켰고, 11장에서 모세는 비록 보이지 않을지라도 함께 하시는 하나님을 의식하며 놀라울 만큼 참을 수 있었음을 언급합니다.
또한 계속해서 12장에서는 예수님의 인내를 찬송합니다. 예수님은 ‘그 앞에 있는 즐거움’으로 인해 혹독한 시험과 적의에 찬 반대를 참을 수 있었습니다.
저자는 무엇보다도 선지자, 제사장, 왕으로서의 그리스도를 제시합니다.
예수님을 통해 주어진 것은 유대교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좋은’ 요소들이 가득하다고 주장합니다. ‘구원에 속한 더 좋은 것’, ‘더 좋은 언약’, ‘더 좋은 약속’, ‘더 크고 온전한 장막’, ‘더 좋은 제물’, ‘더 좋은 부활‘ 등의 표현을 통해 이들에게 주어진 것이 얼마나 귀한 것인가를 분명히 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를 통한 희생제사는 구약의 어떠한 제사와 비교도 안 될 만큼 완전히 다릅니다. ‘단번에’ 라는 표현을 통해 구약에서 날마다 드리던 제사와 구분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단번에’ 자신을 드렸고, 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하지 아니하고 오직 자기의 피로 ‘단번에’ 드리셨으며, 믿는 이들이 ’단번에’ 정결하게 되며, ‘거룩함’을 얻게 되는 희생제물이 되셨음을 가르칩니다.
저자는 이러한 더 좋은 것을 알고 난 후 다시 옛 것으로 돌아가 버리는 행위는 무엇보다 어리석은 일이며, 엄청난 책임과 형벌을 자초하게 된다고 경고합니다. 그러한 행위는 ‘하나님의 아들을 다시 십자가에 못 박아 드러내 놓고 욕되게 함’이며, “은혜의 성령을 욕되게 하는 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이들이 ‘당연히 받을 형벌은 얼마나 더 무겁겠느냐‘고 히브리서 10장 29절에 반문합니다.
결국 어떠한 상황에서도 우리를 위해 중보하시며, 자기를 바라는 자들에게 구원을 온전케 하기 위해 두 번째로 나타나실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믿고, 순종하며, 끝까지 견고하게 잡는 이들이 되어야 한다고 격려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히브리서 통독은 현재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모든 성도님들에게 큰 힘이 되어줄 것입니다.